 |
Global ESG Conference by iM Financial Group
Embedding Sustainable Finance for the Future
–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금융 –
일시
2025년 6월 27일(금) 09:30–16:30
• 세션별 연사 소개
|
|
ESG Special Lecture
Carbon-Neutral Schools:
Advancing ESG and Sustainability through Life Cycle Innovation
일시
2025년 6월 26일(목) 11:00
• 주요 연사 및 패널 소개
|
|
|
ICOBTE & ICHMET 2025
Catalyzing Change for Sustainability and ESG:
Bridging Academia and Industry
일시
2025년 9월 22일(월) ~ 9월 26일(금)
등록 안내 및 자세한 학회 정보는 ICOBTE & ICHMET 2025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학회 프로그램 스케줄
|
|
• 주요 보도기사
“지속 가능성과 ESG의 새로운 장 ‘ICOBTE & ICHMET 2025’, 부산에서 열린다”
세계 최대의 미량원소 및 중금속 관련 국제학술대회인 ICOBTE와 ICHMET가 역사상 두 번째로 공동 개최되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부산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고려대 옥용식 교수(ISTEB 회장, 국제ESG협회 회장)의 주도로 열리며, 전 세계 2,000여 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부산, ‘페스티벌 시월’과 함께 ESG 글로벌 학술대회 개최”
2025년 9월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ICOBTE & ICHMET 2025는 국내 최초 융복합 문화행사인 ‘페스티벌 시월’과 연계되어, 부산의 문화·관광 콘텐츠를 함께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도시의 글로벌 위상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
|
|
 |
ESG의 실효성과 신뢰를 묻다: 제도의 딜레마와 과제
|
기후리스크에 대한 유럽 금융당국의 대응 강화 움직임 “기후보다 정치 본다”…중앙은행 기후대응, 정책 따라 엇갈렸다 UC버클리와 UCL 공동연구에 따르면 중앙은행의 기후 리스크 대응은 과학이나 금융 데이터보다 자국의 정치 기조와 정책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대응이 강한 국가는 중앙은행도 리스크 내재화 또는 탈위험화 전략을 강화했지만, 기후 정책이 미흡한 국가는 중앙은행 역시 소극적이었다. 중앙은행의 대응 수준은 화석연료 산업 규모보다는 국민 여론과 정부 정책 강도와 더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미국 연준은 정치적 중립성과 제한된 권한을 이유로 기후 대응에 소극적인 반면, 영국과 EU는 관련 금융 규제와 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독일 분데스방크는 녹색 전환이 고배출 기업의 신용위험을 증가시켜 금융 시스템에 단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며,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은행의 리스크 노출을 점검하고 있다. 연구진은 중앙은행이 기후변화의 경제적 리스크보다는 국내 정치 지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간 기후 리더십의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출처: 임팩트온, 2025.06.02
|
|
|
그린워싱 예방 중심 규제 필요성 대두 그린워싱 제재 본격화…”규제보다 예방이 중요” 공정거래위원회는 포스코의 탄소저감 강재 브랜드 ‘그리닛(Greenate)’에 대해 그린워싱 혐의로 시정명령을 내렸다. 이는 환경부의 행정지도에 이은 조치로, 과장된 친환경 마케팅에 경고를 준 사례다. 그린워싱은 친환경을 내세우며 실제 효과를 과장하거나 왜곡해 소비자와 투자자를 오도하는 행위로, 기업의 ESG 경영과 탄소중립 홍보가 과열되며 더욱 주목받고 있다. 국내 그린워싱 규제는 공정위와 환경부의 이원적 체계로 이뤄져 있으나, 여전히 사후 처분 위주로 실효성이 낮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024년 국정감사에서는 최근 5년간 9,932건의 위반 중 실질 처분이 단 30건에 불과하다는 점이 지적됐다. 포스코 사례 역시 브랜드 사용이 이미 중단된 후 늦게 시정명령이 내려져 실효성 논란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실질적 억제력을 갖춘 사전적 규제와 위반 시 신속하고 강력한 처벌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출처: 한경ESG, 2025.05.04
|
|
|
|
 |
논문명: Embedding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 review of practices and challenges
저널: Cleaner Environmental Systems, 17권, Article 100279. 교신저자: 국제ESG협회장 고려대 옥용식교수
|
이 논문은 국제ESG협회 주도로 수행된 연구로, 약 8만8000개에 달하는 전 세계 대학들이 교육과 연구 외에도 에너지 소비, 자원 사용, 폐기물 처리 등 운영 전반에서 막대한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개발도상국 대학들의 지속가능성 회계 및 보고 체계가 여전히 미비하다는 점에서, 단순한 목표 달성을 넘어 구조적이고 실천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을 포함한 많은 대학이 지속가능성 지표와 순위에 집착해 실질적인 변화를 도외시하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연구진은 지속가능한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보고 체계,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협력, 학생 주도의 캠퍼스 문화 조성 등이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이번 연구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시한이 얼마 남지 않은 현시점에서, 고등교육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옥용식 교수는 대학이 순위와 평판에 집착하기보다, 책임 있는 리더십과 투명한 보고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하며, “지속가능한 대학이 곧 지속가능한 사회의 시작”임을 강조하면서, 교육을 통한 지속가능성 문화의 내재화를 강조했다.
|
|
|
논문명: Sustainable Biochar: Market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to achieve ESG goals
저널: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217권, Article 115744. 교신저자: 국제ESG협회장 고려대 옥용식교수
|
이 논문은 국제ESG협회 주도로 수행된 연구로, 탄소 네거티브 기술인 바이오차(biochar)가 기후변화 대응과 ESG 경영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특히 바이오차의 탄소 저장 기능, 토양 건강 증진, 폐기물 자원화 가능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한 지속가능한 시장 확대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정책, 인증제도, 기술표준 등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민간 부문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바이오차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과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 및 사회적 수용성 향상도 주요 이슈로 다뤄진다.
국제ESG협회는 이 연구를 통해 바이오차가 ESG 전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 솔루션임을 확인하였으며, 바이오차 시장의 체계적 육성과 투명한 기준 마련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략 수립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임을 강조한다.
|
|
|
|
|
|
협회의 목소리와 현장 이야기
|
|
• 유연철 이사 (유엔 글로벌 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
“인권경영 중시해야… ESG 정책 변화 속 韓 대응책은”
ESG의 사회(S) 분야에서 인권, 노동 기준 등 국제 기준과 국내 현실의 간극. “한국은 인권경영의 실질적 기준 정립과 기업 실행력을 높이는 정책적 설계가 필요하다”
|
|
• 김태한 이사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수석연구원)
“‘ESG 공시’ 또 미뤄지나…다른 나라 눈치만 보는 금융위”
금융당국의 ESG 공시 관련 ‘신중론’에 대한 비판적 시각 제시. “불확실성이 기업에 가장 큰 부담... 한국은 명확한 방향 제시가 시급하다.”
|
|
|
• 옥용식 회장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
“환경과학자 옥용식 교수, 지속가능한 대학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 발표”
지속가능한 대학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 발표. HCR(세계 상위 1%) 선정, 바이오차 기반 기후 저감 기술 주도.
|
|
• 김도형 이사 (법무법인 화우 환경규제대응센터 ESG센터장)
“기후 거버넌스 개편, 환경이냐 에너지냐”
에너지 중심의 기후정책 개편 흐름 속 환경 보전의 균형 필요성 강조. 기후위기 대응 전략에서 ESG 연계의 핵심 이슈를 짚음.
|
|
• 오지헌 이사 (법무법인 원 변호사, ESG센터 공동센터장)
“새 정부의 혁신적 ESG 정책을 기대하며”
규범과 제도를 넘어 기업 실무에 연결되는 정책 실행력의 필요성 제기. ESG 정책의 연속성과 현실 적용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적 제언.
|
|
|